ABOUT ME

-

오늘
-
어제
-
-
  • SpringBoot - 자동 설정 관리
    Back-end/Spring 2020. 6. 27. 22:36

    SpringBoot 자동 설정 관리의 개념

    SpringBoot를 사용하면서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이 자동으로 어떤 설정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SpringBootApplication ?

    auto

    스프링 부트 application을 생성할 때 @SpringBootApplication 를 통해 실행시킬 것입니다.
    이 어노테이션은 사실 하나가 아니라 3가지의 어노테이션이 합쳐져 있습니다.

    • @SpringBootConfiguration - @Configuration과 같은 Bean을 등록시켜주는 역할
    • @ComponentScan - @Component(@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RestController, @Configuration)에 해당하는 어노테이션을 찾아 Bean 등록을 해주는 역할
    • @EnableAutoConfiguration - Tomcat을 구동시켜주는 역할

    auto

    그래서 세개의 어노테이션을 선언하고 구동하여도 동일한 결과가 출력됩니다. 웹 서버를 실행하지 않으려면 @EnableAutoConfiguration을 생략해도 사실상 구동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만약 생략하게 된다면

    @Configuration
    @ComponentScan
    public class Springinit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 application = new SpringApplication(Application.class);
            application.setWebApplicationType(WebApplicationType.NONE);
            application.run(args);
        }
    
    }

    위와 같은 코드를 통해 웹 서버로서 동작을 하지 않게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이런 코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pring-boot-autoconfigure 하위 spring.factories 파일의 meta 설정에 관해서 더 살펴보아야 합니다.

    auto

    라이브러리에 있는 spring-boot-autoconfigure 하위 spring.factories를 클릭하면 @EnableAutoConfiguration에 해당되는 설정 파일들이 보입니다. 이 파일들이 어노테이션이 실행 되면 자동으로 빈이 등록되고 내장 Tomcat을 사용하여 웹 서버가 동작하게 됩니다.

    그런데 웹 서버를 구동시키지 않으려면 왜 추가적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할까요? 바로 여기에도 조건이 걸려있기 때문입니다.

    auto

    위 코드를 보면 @Configuration은 기본적으로 선언이 되어 있는데 밑에 Conditional이 붙은 어노테이션들이 보입니다. 여기서 WebApllication을 살펴보면 SERVLET 타입인데 만약 이 타입이 아니라면 구동을 시키지 않는다는 조건입니다.
    그래서 타입을 NONE으로 오버라이딩 해준다면 실행이 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예시를 하나 들었지만 직접 활용하고 이해하기는 힘들 것이라 생각합니다.
    직접 커스텀 해보면서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SpringBoot 자동 설정 커스텀 해보기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기존 프로젝트 유지)

    의존성 추가하기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autoconfigure</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autoconfigure-processor</artifactId>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dependencies</artifactId>
                <version>2.0.3.RELEASE</version>
                <type>pom</type>
                <scope>impor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auto

    위 두가지의 의존성을 버전관리 해주는 spring-boot-dependencies를 추가하여 2.0.3버전으로 유지하였습니다.

    객체 생성하기

    auto

    객체를 만들고 setter, getter, toString을 만들어줍니다.
    클래스명은 Holoman으로 하였습니다.

    auto

    객체를 자동설정 해주는 설정 파일을 만들고 빈으로 등록할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spring.factories 생성하기

    auto

    main/resources에 spring.factories파일을 만들어 @EnableAutoConfiguration 실행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선언합니다.

    build, install 하기

    auto

    이제 다른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build, install을 해야합니다.
    Maven에서 LifeCycle의 install을 클릭하여 생성하여 줍니다.

    mvn install

    위 명령어를 통해서도 생성이 가능합니다.

    새로운 프로젝트에 기존 프로젝트 의존성 추가하기

    auto

    생성한 프로젝트의 install을 실행하기 위하여 해당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새로 만든 프로젝트의 pom.xml에 의존성 추가를 해줍니다.

    auto

    추가를 해주었다면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추가가 되지 않았다면 자동실행시킬 프로젝트 build, install 문제 혹은 IDE 자체의 refresh가 되지 않았을 수 있으니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auto

    내부를 살펴보면 생성했던 프로젝트 그대로를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가져온 프로젝트에 등록되어있는 빈이 정상적으로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해야합니다.

    Bean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auto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하는데 여기선 ApplicationRunner를 사용합니다.
    이건 Argument인자를 받아서 @SpringBootApplication 실행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Bean을 만들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가져온 holoman 클래스를 의존성 주입을 시키고 run메소드를 재정의 합니다.

    auto

    실행시키면 받아온 프로젝트의 등록되어있는 빈을 출력합니다.

    메소드 재정의 해보기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 application = new SpringApplication(Application.class);
                application.setWebApplicationType(WebApplicationType.NONE);
                application.run(args);
        }
    
        @Bean
        public Holoman holoman() {
            Holoman holoman = new Holoman();
            holoman.setName("freelifeBlack");
            holoman.setHowLong(60);
            return holoman;
        }
    }

    auto

    그렇다면 가져온 빈을 현재 프로젝트에서 다시 정의하여 출력한다면 현재 프로젝트의 메소드 값이 나올까요?
    답은 "NO"입니다.

    이유는 @SpringBootApplication에 있는데,
    첫 번째 실행하는 어노테이션은 @ComponentScan으로 현재 프로젝트에서 만든 메소드를 먼저 빈으로 등록합니다.

    두 번째 실행하는 어노테이션은 @EnableAutoConfiguration으로 기존 프로젝트에서 가져온 빈을 등록하여 덮어쓰게 되어 결과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현상을 바꾸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지 알아봅시다.

    재정의 덮어쓰기 방지하기

    auto

    @ConditionalOnMissinBean은 빈 등록이 되어있지 않다면 등록하고 아니면 등록되지 않게끔 하게 합니다.
    즉 현재 프로젝트에서 먼저 등록이 된다면 기존 프로젝트의 빈은 등록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uto

    위처럼 먼저 등록을 하였기 때문에 덮어씌워지지 않고 출력되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일일이 내가 다 빈 등록 및 어노테이션을 붙여야 하는가 하는 의문이 들겁니다.
    그 해결 방법은 바로 application.properties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application.properties 사용하기

    auto

    main/resources경로에 application.properties를 생성합니다.

    auto

    그리고 생성한 파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용 객체를 생성해야합니다.
    기존 프로젝트에서 @ConfigurationProperties("prefix")를 사용하여 application.properties에 선언한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configuration-processor</artifactId>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auto

    먼저 위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자동완성이 되니 꼭 추가해야합니다.

    auto

    @EnableConfigurationPropertie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Properties클래스를 선언합니다.
    그리고 값을 유동적으로 가져가야 하기 때문에 파라미터 값으로 가져갑니다.
    그리고 재정의한 값을 가져가기 위해서 getter를 통해 set합니다.

    auto

    그리고 내가 출력하고싶은 값을 application.properties에 작성하고 출력합니다.

    auto

    입력한 값이 정상적으로 출력됩니다.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 SpringApplication  (0) 2020.06.27
    SpringBoot - JAR  (0) 2020.06.27
    SpringBoot - 내장 웹 서버  (0) 2020.06.27
    SpringBoot - 의존성관리  (0) 2020.06.27
    SpringBoot -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20.06.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