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
KOSTA 교육 25일차(PL/SQL, 제어문, 반복문, EXCEPTION, CURSOR, PROCEDURE)Review 2020. 6. 21. 18:06
18.12.3(월) 배운 내용 PL/SQL 제어문 반복문 EXCEPTION(예외) CURSOR(커서) PROCEDURE(프로시저) 1. PL/SQL 이미 개념을 학습한 부분으로 처음부터 보고싶다면 24일차 부터 참고. 오늘은 이어서 학습하도록 하겠다. 데이터유형에는 기본데이터 타입, 레퍼런스 타입 둘로 나뉜다. 기본데이터는 평소에 사용하던 VARCHAR2(), NUMBER 등이 있겠고, 레퍼런스형은 변수명 테이블명.칼럼명 % TYPE, ROWTYPE 등이 있다. TYPE은 테이블에 있는 하나의 컬럼명을 담고 있으며 ROWTYPE은 테이블을 담고 있는 데이터타입이다. 미션 1 사원의 이름과, 이메일을 출력하려면 해당 출력대상의 테이블에 있는 칼럼을 가져와야한다, 때문에 TYPE으로 가져와 변수를 입력하고 ..
-
KOSTA 교육 24일차(JOIN, 다중 컬럼, 다중 로우, FROM절 서브쿼리, INDEX, VIEW, SEQUENCE, PL/SQL)Review 2020. 6. 21. 18:00
18.11.29(목) 배운 내용 다중 컬럼, 다중 로우 FROM절 서브쿼리 INDEX VIEW SEQUENCE PL/SQL 1. 다중 컬럼, 다중 로우 서브쿼리 다중 컬럼, 다중 로우 서브쿼리는? 하나 이상의 행을 반환하는 서브쿼리를 말한다. 단일 행 연산자를 사용할 수 없고 다중 행 연산만 사용 가능하다. IN : 검색된 값 중에 하나만 일치하면 참 ANY : 검색된 값 중에 조건에 맞는 것이 하나 있으면 참 ALL : 검색된 값과 조건이 모두 일치해야 참 컬럼 > ALL(서브쿼리) -> 컬럼 > MAX : 가장 큰값 보다 크다 컬럼 컬럼 > MIN : 가장 작은값 보다 작다 컬럼 > ANY(서브쿼리) -> 컬럼 > MIN : 가장 작은값 보다 크다 컬럼 < ANY(서브쿼리)..
-
KOSTA 교육 22일차(HAVING, 함수, DDL, DML, 제약조건)Review 2020. 6. 21. 17:54
18.11.27(화) 배운 내용 HAVING절 함수 DDL DML 제약조건 1. HAVING절 HAVING은? 전체 그룹에서 일부의 그룹만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GROUP BY와 함께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뒤에 사용된다. WHERE 절은 전체 데이터를 GROUP으로 나누기 전에 행들을 미리 제거시킨다. department_id라는 그룹들을 HAVING절로 함수에 대한 조건을 제시한다. 월급의 평균이 5000 이하일 경우를 출력하게 된다. 평균을 2번째 ROUND함수를 이용해 소숫점에서 반올림을 하여 출력하려 한다. 여기서 화학과를 제외하기 위하여 HAVING에 !를 선언하여 출력한다. 2. 함수 함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고 특정 연산을 처리해주는 것을 말한다. 종류별, 용도별로 구분하여..
-
KOSTA 교육 21일차(Database, SELECT, FROM, WHERE, ORDER BY, GROUP BY)Review 2020. 6. 21. 17:48
18.11.26(월) 배운 내용 Database SELECT FROM WHERE ORDER BY GROUP BY 1. Database(데이터 베이스) Database는? 서로 연관성을 가지며, 중복 없이 지속성으로 유지 관리해야 할 유용한 데이터들을 Database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가 등장한 이유 데이터 파일 사용 시 중복된 데이터 저장이 빈번히 발생하였음 대용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기에는 역부족이었음 다중 사용자 환경의 데이터 공유가 어려웠음 보안에 취약함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쉽게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검색, 수정, 삭제 할 수 있게 환경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대표적인 시스템으로는 MySQL, ORACLE 등이 있다. 관계형 DBMS 데이터를 단순한..
-
KOSTA 교육 20일차(Project)Review 2020. 6. 21. 17:35
18.11.23(금) 배운 내용 자바 미니프로젝트 1. Project(프로젝트) 2일에 걸쳐 완성한 프로젝트를 소개 및 정리해보려 한다. 주제는 식당의 식단표 및 식권시스템으로 날짜에 맞는 식단표를 입력하고 출력하여 식단표를 확인할 수 있고, 식권을 구입하여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프로젝트를 분석설계하는 과정에서도 순서가 매우 중요하다. 이 중에서도 요구분석이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분석이 철저해야 그에 맞는 정확한 기능를 구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순서로는 다음과 같다 1. 주제 선정 2. Use case 만들기 3. 요구분석 정의서 작성 4. 요구분석 명세서 작성 5. 도메인 설계 6. 구현(코딩), 테스트 7. 보고서 작성(PPT) 8. 구현 후 C..
-
KOSTA 교육 19일차(Project)Review 2020. 6. 21. 17:30
18.11.21(수) 배운 내용 자바 미니프로젝트 1. Project(프로젝트) 어제에 이어서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오늘은 직접 구현을 하기 위해 코딩을 하였다. 각자 역할분담을 하여 진행하였고 나는 어제와 동일하게 요구분석 정의서와 명세서 작성 그리고 달력에 주간 날짜와 식단을 출력하는 역할을 맡았다. 오늘 오전부터 오후까지 계속 출력을 위해 노력했고 결국 내 힘으로 해결이 안되어 같은 조 인원에게 도움을 청하여 완성하게 되었다. 위의 코드는 도움을 받아 작성한 결과이다. 나는 코드를 작성하면서 처음은 토요일이 일요일로 바뀔 시점에 날짜가 칸을 넘어가니 동시에 식단도 넘어가도록 할 계획이었다. 해당되는 for문에 반복을 시키기 위해 해당 배열값을 넣었더니 날짜 가로로 넘어서 범위를 넘어가는 현상..
-
KOSTA 교육 18일차(이론평가, Project)Review 2020. 6. 21. 17:28
18.11.21(수) 배운 내용 이론평가 자바 미니프로젝트 1. 이론 평가 전체적으로 자바를 한 번 훑고 나서 복습겸 본인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총체적인 이론평가를 보았다. 객체지향 언어가 가지는 장점, 기본데이터 및 오브젝트 데이터의 차이점, 형변환, 추상클래스 및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등 많은 문제를 풀었다. 꼭 평가를 위해서 복습한건 아니었지만 복습을 해보니 정말 잊은 것도 많고 제대로 알고있지 않은 것들도 많았다. 100점 만점에 1등이 75점 나는 65점을 받았다… 생각보다 문제가 어려웠고 내가 제대로 알지 못하지만 희미한 기억에 의존하여 푼 문제가 맞은 경우도 있어 결코 내가 알아서 푼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번 시험을 계기로 뒤에 기본적인 개념과 코드들을 꾸준히 복습해서 천천히 완벽하게 습득할..
-
KOSTA 교육 17일차(Algorithm, 알고리즘, JSON, 라이브러리)Review 2020. 6. 21. 17:24
18.11.20(화) 배운 내용 알고리즘 JSON 라이브러리 1. algorithm(알고리즘) algorithm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이나 절차.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는 모든 언어에서 사용 되지만 자바를 사용하여 체험학습 의미로 어제에 이어서 예제를 풀어보자 t가 1보다 크고 50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에 t를 if문에 조건으로 선언하고 참이면 break로 끝낸다. long타입으로 배열을 선언하여 더 큰 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inputs배열을 2개를 선언하여 값 2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split을 이용하여 공백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a[i]는 inputs[0]으로 b[i]는 inputs[1]로 선언해준다. 이때 Long타입으로 String으로 변환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