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STA 교육 47일차(Semi-Project, 요구분석, Use-Case, Naming, DB Modeling)Review 2020. 6. 23. 01:56
19. 1. 10(목)
배운 내용
- 요구분석
- Use-case
- Naming
- DB Modeling
1. 요구분석
Trello를 사용하면서 필요한 기능들에 관해 정의서를 작성하였다.
요구분석 사항
- 여기서 내가 맡은 기능은 post세부내용, post댓글, 메인의 카드생성, 이동, 수정, 삭제이다.
스크럼 방식
- 명세서에 따라 스토리를 작성하여 To-do로 위치하였다.
2. Use-Case
역할별 기능을 나열하여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나타낸다.
- 일반의 역할을 매니저는 할 수 있다.
- 매니저의 역할은 일반의 역할을 포함하며 매니저의 고유 역할이 있다.
- 마스터는 일반, 매니저 역할을 가지고 있으며 마스터 고유의 역할이 있다.
3. Naming
프로젝트 조원들끼리 각자 다른 명을 가지고 생성하여 작업하면 가독성 및 구별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명명법을 정하여 제목을 정하는데에 약속을 한다.
- 각각 파일에 맞는 규칙을 정하여 사용한다.
4. DB Modeling
DB를 Modeling하여 데이터베이스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각각 필요한 제약조건과 데이터타입을 선언한다.
내 역할의 DB
포스트카드 — Card
카드 번호(PK) — c_no
카드 이름 c_title
카드 위치 c_position포스트 — Post
포스트 번호(PK) — p_no
포스트 이름 — p_title
포스트 위치 — p_position
포스트 세부내용 번호(FK) — d_no카드 번호(FK) — c_no
포스트 세부내용 — Description
포스트 세부내용 번호(PK) — d_no
포스트 내용 — d_con
포스트 번호(FK) — p_no댓글 — reply
댓글 번호(PK) — r_no
댓글 내용 — r_con
댓글 작성일 — r_date
유저 번호(FK) u_no
포스트 번호(FK) p_no태그 — tag
태그 번호(PK) — t_no
댓글 번호(FK) — r_no위의 테이블들을 구성할 예정이다.
최종적인 ER-diagram은 금요일에 완성할 예정이다.오늘 교육 간 느낀점
오늘은 오전에 명명법을 하고 오후부터 계속 DB Modeling을 하였다.
내 기능들만 DB 설계를 하는데도 머리가 아프고 고려해야할 내용이 많았다.
DB를 배울 때 Modeling의 중요성을 크게 깨달았기 때문에 차후에 문제가 없도록 관심 또 관심을 가지고 사활을 다했던 것 같다.내일은 DB Modeling을 끝내고 Git 세팅과 eclipse 세팅을 마무리 하여 본격적인 코딩 작업을 할 수 있는 기틀을 만들 것이다.
만든 기틀을 주말부터 기능 구현에 들어가서 열심히 해야겠다.'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STA 교육 49일차(Semi-Project, insert, update) (0) 2020.06.23 KOSTA 교육 48일차(Semi-Project, insert) (0) 2020.06.23 KOSTA 교육 46일차(Git, Software Develope Process, Semi-Project) (0) 2020.06.23 KOSTA 교육 45일차(MVC, CRUD) (0) 2020.06.23 KOSTA 교육 44일차(Paging, Service) (0) 2020.06.23